몹시 추운 겨울날 한 신병 이등병이 밖에서 언 손을 호호 불어가며 찬물로 빨래를 하고 있었습니다.
마침 그곳을 지나던 소대장이 그것을 보고 안쓰러워하며 한마디를 건넸습니다.
“김 이병, 저기 취사장에 가서 뜨거운 물 좀 얻어다가 하지.”
그 이등병은 소대장의 말을 듣고 취사장에 뜨거운 물을 얻으러 갔지만,
고참으로부터 군기가 빠졌다는 핀잔과 함께
한바탕 고된 얼차려만 받아야 했습니다.
빈손으로 돌아와 찬물로 빨래를 계속하고 있을 때,
이번에는 중대장이 지나가면서 그 광경을 보았습니다.
“김 이병, 그러다 손에 동상 걸리겠다. 저기 취사장에 가서 뜨거운 물 좀 얻어다 해라.”
신병은 그렇게 하겠다고 대답은 했지만, 이번에는 취사장에 가지 않았습니다.
가 봤자 뜨거운 물은 고사하고, 혼만 날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렇게 계속 빨래를 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중년의 인사계 부사관이 그 곁을 지나다가
걸음을 멈추고 말했습니다.
“김 이병, 내가 세수를 좀 하려고 하니까 지금 취사장에 가서 그 대야에 더운물 좀 받아 와라!.”
이등병은 취사장으로 뛰어가서 취사병에게 보고했고,
금방 뜨거운 물을 한가득 받아 왔습니다.
그러자 인사계가 다시 말했습니다.
“김 이병! 그 물로 언 손을 녹여가며 해라.
양이 충분하지는 않겠지만 동상은 피할 수 있을 거야.”
소대장과 중대장, 그리고 인사계 등 3명의 상급자가 모두 부하를 배려하는 마음은 있었지만,
상대방의 입장에서 상황을 파악하고
정말로 부하에게 도움이 된 것은 단 한사람뿐이었습니다.
일상적인 생활에서도 이러한 일을 비일비재합니다.
자신의 관점에서 일방적인 태도로 상대를 배려한 걸로 생각하고는,
상대에게 도움을 줬다고 혼자 착각하고 있는 일 말입니다.
이런 어리석음을 범하고 있지는 않은지 되돌아보아야 할 것입니다.
배고픈 소에게 고기를 주거나,
배고픈 사자에게 풀을 주는 행위는
배려가 아니라 나의 입장에서 단지 내 만족감으로 하는
허상의 배려라는 점을 잊지 마세요.
배려(配慮)는 짝 ‘배’, 생각 ‘려’를 합친 단어로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산비탈의 바위와 흙과 이끼와, 물과 나무도
서로 배려하면서 공존하고 살고 있듯이,
진정으로 배려하는 기쁨으로 충만하고,
누군가로부터 배려 받고 있음을 감사하는 마음으로,
오늘 하루도 즐겁고 행복하게 보내십시오.
'생활속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의성이 별 건가요? (0) | 2021.12.05 |
---|---|
찬스는 가면을 쓰고 온다 (0) | 2021.12.05 |
아는 것을 실천해야 힘이다. (0) | 2021.12.05 |
1분 성찰 3 평범하게 옷차림을 하더라도 안주머니속의 지갑은 명품이어야하는 이유 (0) | 2021.12.02 |
1분성찰2 소액주식투자, 소액부동산투자, 상품투자(샤넬,나이키등 명품) 음악투자, 미술투자와 같은 소수점투자를 생각해보자! (0) | 2021.12.02 |
댓글